반응형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서비스는 200개가 넘습니다. 시간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한 모든 서비스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할 수는 없겠지만 많이 쓰이는 서비스 몇 가지는 알아두면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서비스가 많기도 하기에 줄임말을 들으면 어떤 서비스인지 까먹을 때가 종종 있기도 합니다(예를 들면 AMI, EBS 등...).
그래서 지금까지 공부했던, 또는 앞으로 공부할 아마존 서비스 이름과 관련 기술에 대해서 간략하게만 정리해두고자 합니다.
- EC2 (Elastic Compute Cloud) : 아마존에서 가장 많이 접하게되는 서비스로, 서버를 작동하는 서비스
출처 :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concepts.html - AMI (Amazon Machine Images) : 미리 설정된 EC2 인스턴스 템플릿(또는 백업)을 저장해 놓는 서비스
- EBS (Elastic Blcok Store) : 클라우드판 하드디스크. EC2에서 사용하는 가상 영속 메모리 서비스
- VPC (Virtual Private Clouds) : EC2를 사용할 가상 영역을 만들어 놓는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 가능.
- Route 53 : DNS 관리 서비스. (53은 DNS 질의 시 사용되는 UDP 포트입니다.)
- CloudFront :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관리 서비스
- CloudWatch : 아마존에서 사용하는 리소스와 앱 모니터링 서비스
- Amazon S3 (Simple Storage Service) : (단일) 클라우드판 파일 서버 서비스 (내구성 좋음, 마운트 불가능)
- Amazon EFS (Elastic File System) : (확장가능한) 클라우드판 파일 서버 서비스 (빠르고 넓게넓게 씀, 마운트 가능)
- Amazon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관계형 DB 서비스.
- Amazon DocumentDB : NoSQL DB 서비스.
- Amazon DynamoDB : NoSQL DB 서비스. (서버리스용)
- Amazon SNS (Simple Notification Service) : 알림 서비스. (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아니다) - EB(Elastic Beanstalk) : 여러 서비스들의 설정을 한번에 해놓고 앱을 배포하는 서비스.
출처 :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beanstalk/latest/dg/concepts-webserver.html - Route 53부터 로드 밸런서, 보안 그룹, EC2 인스턴스, 오토 스케일 그룹이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참고 링크
- 아마존 공식문서 - https://docs.aws.amazon.com/
'Devops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사설 도메인으로 EC2 + ACM(TLS) + 로드밸런서 세팅하기 (0) | 2023.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