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리제이(intellij)를 사용하는데 위와 같이 x-windows-949
관련 배너가 나오면서 위와 같이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1. 환경설정에서 UTF-8 인코딩으로 다 바꾸어주기
일단 이 문제는 인코딩 문제인 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환경설정에서 x-windows-949
으로 보이는 부분은 모두 UTF-8로 바꾸어주었습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에서는 두 부분을 변경해주면 됩니다. Project Encoding
부분과 아래 default encoding for properties files
부분을 UTF-8로 바꾸어줍시다.
Editor-General-Console
에 있는 Default Encoding
부분도 UTF-8로 바꾸어줍시다.
이렇게 위 스크린샷들처럼 바꾸면 우선 파일과 콘솔 관련 인코딩은 확실하게 UTF-8로 설정이 될 것입니다.
2. 커스텀 가상머신 설정
Shift
키를 두 번 눌러주면 빠른 실행 창이 나오는데, 거기서 custom vm
이라고 검색해줍시다.
idea64.exe.vmoptions
라는 텍스트 파일이 하나가 나오는데. 그 파일에 이렇게 입력해줍시다.
-Dfile.encoding=UTF-8
-Dconsole.encoding=UTF-8
이러면 JVM 단에서도 파일을 UTF-8을 사용할 것라고 명시할 수 있습니다.
3. 이미 빌드되어진 파일 삭제
주의! 프로젝트 구조마다 빌드 경로가 다 다를 수 있으니, 신중하게 판단 후 삭제하도록 합시다!
이제 인코딩을 설정이 끝났으니 다시 빌드를 해보니 인코딩 문제는 해결됐지만, 여전히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빌드된 파일을 삭제해서 다시 컴파일되도록 해줍시다.
필자의 경우에는 app/build
경로가 빌드 경로였습니다.
(잘못 삭제했다간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건널 수도 있으니 조심합시다)
파일명이 회색으로 표시된 디렉토리 중 이름이 out
이거나 build
인 디렉토리를 삭제해줍시다.
그러고 나서 다시 빌드하면 한글이 정상적으로 잘 나옵니다!
'Develop >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sue/Spring] Thymeleaf의 th:field와 th:value의 사용 (0) | 2023.10.10 |
---|